|
|
|
CM의 필요성 |
건축주의 대리인 역할
1) 건설본부 및 기술자 조직의 최소화
2) Total Service로 건축주의 프로젝트에 대한 업무 최소화
3) 공사비 절감, 공기 단축, 품질 향상으로 건축주의 이윤이 극대화.
4) 단일조직이 설계자 및 시공자를 종합관리함으로써 일관성 유지.
5) 전문적, 독립적인 분석/평가로 최선의 의사결정이 되도록 의견 제공.
사업초기(Pre-construction Phase)에 필요
1) 건설공사의 성패는 사업초기단계에서 결정납니다.
2) 시간이 흐름에 따라 결과에 대한 영향력이 감소되며 비용 및 시간이 많이 투입되게 됩니다.
3) CM은 예상되는 문제점 및 낭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반드시 사업초기 단계부터 도입, 운영하여야 합니다.
설계와 시공의 통합(Integration)
1) 건축주, 설계자, 시공자간의 통합된 Communication 과 Coordination을 위한 Team Building의 신뢰성 있는 Leadership 기능을 합니다.
2) 설계단계부터 시공성 검토(Constructability Review),Value Engineering을 통한 원가절감 방안을 여러 전문기술자들이 검토함으로써 효율적인 사업 진행이 가능합니다.
3) 사전 충분한 설계도서 검토로 시공시 설계변경 최소화로 원가 및 공정관리가 용이합니다.
4) Fast Track 방식을 이용한 공기단축 효과가 큽니다.
5) 설계단계부터 관여한 전문기술자가 시공단계까지 참여함으로써 공사수행이 원활합니다.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