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개인위생공간이나 화장실은 신체적인 이유나 인체공학적인 필요성보다 경제적인
이유로 더욱 발전되어
왔다.
만일 화장실 출입문이 열려있더라도 시각적으로 방안이 보이지 않도록 계획되어야
한다.
거실에서 직접 들어갈 수 있는 화장실을 계획하고 전실을 둔다. 소변기를 눈에
띄지 않는 곳에 배치,
화장실과 침실은 가급적 가까이 두고 큰창을 내어 거울과 함께 밝은 욕실을 만들고
3각형의 내민창으로
좁은 욕실 공간을 여유있게 한다. 아래에서 천장까지 긴 환기창을
설치하고 욕실의 욕조나 여러 물품을
오래가게 하기 위해 환기를 확실히 한다.
유리블록을 이용한 욕실의 채광은 효과적이며 미끄러지지 않는 바닥재를 사용한다.
타일과 위생기구는 색상을 통일하여 깔끔한 분위기를 주어도 좋고 대비가
되는 색상을 이용한 액센트를
유도하기도 한다. 요즈음은 패턴을 줄 수 있는 타일이 많으므로 잘 골라 선택하되
패턴이나 색상이 주로
강조는 작은 면적으로 최소화 하는 것이 좋다. |
|
|
|
 |
|